국가 지원 사원150 산정특례 제도 산정특례 제도란 본인부담이 높은 암 등등 중증질환자와 의귀 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에 대하여 본인부담률을 경감해 주는 제도입니다. 관련근거 - 국민건강보험법 제44조(비용의 일부부담)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19조(비용의 본인부담) 제1항 별표2 -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보건복지부 고시)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제도란? 진료비 본인부담이 높은 암 등 중증질환자와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에 대하여 본인부담률을 경감해 주는 제도 지원대상자 1. 중증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 외래 또는 입원진료(질병군입원진료 및 고가의료장비사용 포함)시 요양급여비용총액의 100분의 5 본인일부부담 * (별첨1)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뇌혈관질환의 상병명 및 수술명 * (별첨2)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심장질환.. 2023. 12. 24.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인플루엔자 접종 대상자(어린이, 임신부, 어르신)의 예방접종률 향상과 질병 부담 감소할 수 있는 지원입니다. 지원대상 ○ 어린이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 지원대상: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2010.1.1.~2023.8.31. 출생자) * 실제 생년월일과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이 상이할 경우, 실제 생년월일 기준으로 접종 및 비용 지원 - 지원기간: 2회 접종대상 : 2023. 9. 20. ~ 2024. 4. 30. 1회 접종대상 : 2023. 10. 5. ~ 2024. 4. 30. -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를 이용하면 주소지에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가능 ○ 임신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 지원대상: 산모수첩 등을 통해 임신여부를 확인한 임신부 * 임신 주수.. 2023. 12. 23. 노후 준비 서비스 제공 노후 준비서비스는 국민의 체계적 노후준비와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해 노수 생활 4대 영역인 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에 대해 종합적인 정보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우리나라는 기대수명의 연장과 낮은 출산율로 인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1990년 5.1%에 불과하였으나 2060년은 40.1%로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를 전망입니다. 고령사회는 수명연장이라는 측면에서 축복일 수 있지만 준비되지 않은 고령사회는 큰 고통이 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노후준비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한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국민 개개인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노후준비를 지원받아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후준비서비스를 .. 2023. 12. 22. 2023 근로·자녀장려금 요약 : 저소득계층의 빈곤 탈출을 지원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환급 형태로 지급하여 저소득 계층의 근로를 유인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기 위한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지원대상신청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이 있는 가구로써 신청기간 내 신청하는 경우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한 근로장려금과 부양자녀수에 따라 산정한 자녀장려금을 지급 선정기준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이 있는 가구소득요건전년도 부부합산 연간 총소득이 가구 유형에 따라 정한 기총소득기준금액 미만일 것 (근로장려금) ㆍ 단독가구 : 2,200만 원 미만 ㆍ 홑벌이 가구 : .. 2023. 12. 21. 긴급복지 생계지원 요약 : 갑작스럽게 생계곤란 등 위기상황에 처하여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신속하게 지원,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신청기간 상시신청 전화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 ☎ 129) 신청방법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보건복지상담센터(129)에 전화로 신청 접수기관 주민센터, 시·군·구청 지원형태 현금 제출서류 신분증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지원대상 ○ 긴급복지지원법 제2조 제1호 내지 제7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사람 1. 주소득자(主所得者)가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에 수용되는 등의 사유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2.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3.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放任) 또는 유기(遺棄)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 4. 가정.. 2023. 12. 20. 임신 관련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맘편한 임신) 요약 : 각종 임신 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하고 통합신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임산부(내국인)에게 서비스입니다. 신청기간 임신확인 이후부터 분만 예정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단 엽산제는 임신3개월까지, 철분제는 임신 16주 이후 신청 가능 합니다. 에너지바우처는 별도 고지된 신청기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출산예정일 40일 전~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가능)합니다. 신청방법 ○ 방문 신청 : 임산부 주민등록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신분증 지참) ○ 온라인 신청 : 정부24(http://www.gov.kr) 접속, 정부 24 http://www.gov.kr * 임산부 본인만 신청가능 접수기관 정부 24,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 지원내용 ① 엽산제 지원(임신주수에 따라 지급수량.. 2023. 12. 19.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