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지원 사원151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요약 : 기업의 청년고용 확대를 지원하고, 취업애로청년의 취업을 촉진함으로써 청년고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이란?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에서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최장 2년간 최대 1,200만 원 지원 * 지식서비스산업, 미래유망기업, 고용위기지역 소재 기업 등은 5인 미만 기업도 가능 (‘22년) 월80만원×12개월 지급 → (’ 23년) 최초 1년은 月60만 원 ×12개월 지급, 2년 근속 시 480만 원 일시 지급 신청기간 2023.01.09~2023.12.31 전화문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 사업 누리집(http://www.work.go.kr/youthjob) 에서 사업장 소재지 관할 운영기.. 2023. 12. 8. 다문화가정 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지원 요약 :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에게 기술 습득과 취업능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교육 기회 제공, 자립 가능한 직업 능력을 부여하여 안정된 사회통합 실현을 지원합니다. 신청기간 1년에 2회(정시 1차 6~9월경, 정시 2차 10~11월경) 전화 문의 교학팀(043-649-2800)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한국폴리텍 다솜고등학고 홈페이지 https://www.kopo.ac.kr/dasom/index.do 한국폴리텍 다솜고등학교 들어봤니? 다문화 기술고 꿈돌이 사총사의 감동 스토리가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 여기 클릭해 주세요~! www.kopo.ac.kr 지원대상 전국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중도입국 및 한국출생) 입학자격 1. 중학교 졸업 또는 그에 상응하는 교육을 이수한 자 2. 고등학교 입학자격 검정.. 2023. 12. 7. 교육급여 바우처(2023.3.2~2024.6.28) 요약 : 꿈을 가진 우리 아이들의 내일이 밝아지도록 교육부와 17개 시·도 교육청, 한국장학재단에서는 교육급여 바우처를 지원합니다. 교육급여 바우처란? 꿈을 가진 우리 아이들의 내일이 밝아지도록 교육부와 17개 시·도 교육청, 한국장학재단에서는 교육급여 바우처를 지원합니다. - ’ 23학년도부터 교육급여(교육활동지원비)가 계좌이체가 아닌 바우처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 교육급여 바우처는 교육급여 수급권자(학생)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카드포인트 형태의 이용권(허용된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입니다. 모든 교육급여 수급 가정에서는 반드시 바우처를 신청하셔야 합니다. 신청권자 만 14세 이상 교육급여 수급학생 또는 보호자 - (본인신청)만 14세 이상 교육급여 수급 학생 본인 - (대리신청) ① 교육급여.. 2023. 12. 6. 조기재취업수당 요약 : 구직급여 수급자격자가 대기기간(수급자격 신청일로부터 7일간, '19. 7. 16. 이후 수급자격을 신청한 건설일용근로자는 대기기간 없음)이 지난 후 재취업한 날의 전날을 기준으로 소정급여일수를 1/2 이상 남기고 재취업한 경우, 남아 있는 구직급여의 1/2을 조기 재취업수당으로 지급하여 구직급여 수급자의 빠른 재취업을 촉진하는 제도이며, 아래 지급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지급 지급요건 : 아래 요건 모두 충족 1. 재취업한 날의 전날을 기준으로 고용보험법 제50조에 따른 소정급여일수를 2분의 1 이상 남긴 상태이어야 함 2. 12개월 이상 계속하여 고용된(또는 사업을 영위한) 경우 사업주가 변경되더라도 기간의 단절 없이 계속 고용되어 12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이어야 함 ※ (건설)일용근로자로 재취업.. 2023. 12. 6. 자영업자 실업급여 요약 : 자영업자의 생활 안정 및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근로복지공단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자영업자 고용보험제도란? - 자영업자의 생활안정 및 재취업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0~49인의 근로자가 있는 자영업자는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 가입 후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실업급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방식 - 본인의 희망에 따라 가입하는 방식으로,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 및 실업급여에 모두 가입해야 합니다. 다만, 법 시행일(2012.1.22) 전에 이미 가입한 자영업자는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에 한해 가입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실업급여 미가입 가능) - 가입을 희망하는 자영업자는 사업자등록을 하고 실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야 합니다. - 자영업자의.. 2023. 12. 5. 일용근로자 구직급여 요약 : 근로기준법은 일용근로자에 대해 정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지만 '그때 그때의 필요에 의해 사용하는 근로자'로서 '근로계약을 1일 단위로 체결하고 그날의 근로가 끝나면 사용종속관계도 끝나 계속 고용이 보장되지 않는 자'에 대한 구직급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용근로자 고용보험 가입 의무화 “2004년 법 개정으로 모든 일용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이 의무화되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 시 여러가지 혜택이 있으므로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지급대상 - 수급자격인정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이고, 수급자격 인정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달 초일부터 수급자격 인정신청일까지의 근로일 수의 합이 같은 기간 동안의 총 일수의 3분의 1 미만이어야 합니다. (건설일용근로자의 .. 2023. 12. 4.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6 다음 반응형